21일차

카테고리 없음 2016. 4. 11. 17:28

서버 :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 데이터를 먼저 받으면 서버 )

클라이언트 : 서버에게 서비스를 요청해서 사용하는 컴퓨터 ( 데이터를 먼저 보내면 클라이언트 )

DNS (Domian Name System)  : 숫자 대신 기호를 사용하는 주소

DNS 서버 : 기호 주소를 숫자 주소가 변환해주는 서버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인터넷 상의 자원을 나타내는 약속

프로토콜 : 통신을 하기 위한 약속

트랜스포트계층
-TCP : 신뢰성있게 통신하기 위하여 먼저 서로간에 연결을 설정한 후에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방식
-> 연결을 설정하고 그 선으로만 데이터를 통신 ( 전화통신 )
-> 파일전송

-UDP : 데이터를 몇개의 고정 길이의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
-> 쪼개서 여러 회선으로 데이터를 전송 ( 문자 )
-> 영상전송


ip주소
-자바에서 IP주소는 InetAddress라는 타입의 자료형으로 관리

포트 
- 가상적인 통신선로
- 0~65535 ( 0~1023 잘알려진 포트 ) ( 1024~49151 등록된 포트 ) ( 49152~65535 동적포트 )
- 등록된 포트 아무거나 쓰면됨
- 데이터를 받는쪽은 포트를 열고 대기
- 데이터를 보내는 쪽은 상대방의 IP, Port를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달

소켓 = IP + 포트

UDP전송 순서
1. 소켓 생성
- DatagramSocket socket = new DatagramSocket();
- 데이터를 받고자 할때는 소켓 생성자에 사용할 포트번호 기재
- 보내기만 할때는 안써도됨 ( 내부적으로 임시포트를 받아다씀 )

2. 보낼 데이터를 바이트 배열로 준비
3. 준비한 바이트 배열을 목적지 주소와 목적지 포트번호를 포함해 패킷으로 준비
4. 소켓을 통해 패킷 전송


/UDP 데이터 수신하기

//수신할 포트를 적어서 소켓 생성

//수신할 데이터가 저장될 빈 바이트 배열을 준비

//수신할 데이터가 저장될 빈 패킷을 위 배열과 연결해서 준비

//소켓에 준비한 빈 패킷을 담아 수신

Posted by 보로로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