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 오류 해결방법
프로젝트 -> Propertis -> JAVA Build Path 메뉴 -> Libray탭 -> Add Libraries
-> Server Runtime -> Tomcat Server
그럼 완료!
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 오류 해결방법
프로젝트 -> Propertis -> JAVA Build Path 메뉴 -> Libray탭 -> Add Libraries
-> Server Runtime -> Tomcat Server
그럼 완료!
[Curbrid] 데이터 내보내기 및 가져오기시 한글깨지는 현상
DB내의 언어, 내보내기, 가져오기 설정을 모두 utf-8로 설정해줬는데도 깨지는 경우
데이터 내보낸 폴더로 들어가서 ddl 폴더의 schema.sql을
에디터플러스같은 편집프로그램으로 들어가신 후
테이블 생성쿼리 맨뒤에 COLLATE utf8_bin REUSE_OID 이거 지워주세요.
리눅스 명령어
- ls (해당 디렉토리안에 파일목록보기)
- find / -name 'et*' -type d (전체 하드에서 디렉토리 이름이 et로 시작하는 모든 디렉토리찾기)
window에서 Linux접속하는 방법입니다.
일단 리눅스로 접속하려면 putty라는 SSH 클라이언트가 필요합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합니다.
아이피 주소 입력해주시고
port번호는 defult값이 22번이므로 설정하지않으셨다면 그대로 둡니다.
커넥션타입은 SSH로 설정하시고
접속할 IP의 닉네임?등을 적고 Save한 후에 이름을 누르고 Open을 눌러줍니다.
그다음 Alert창이 뜨면 예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cmd창같은 창이 뜹니다.
계정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시면 접속됩니다.
1. jdbc dirver적용
-OZ Query Designer 7.0의 lib폴더에 cubrid-jdbc.jar파일 붙여넣기
D:\OZ e-Form 7.0\OZ Query Designer 7.0\lib\cubrid-jdbc-driver-9.3.6.0002-1.0.1.jar
-OZ Query Designer 7.0의 config폴더의 launch.cfg 큐브리드 설정추가
launch.cfg파일을 저는 에디터플러스로 실행해서 수정해줬습니다.
실행하시면 아래와같이 두줄이 나옵니다. CLASSPATH에 큐브리드 jar을 추가해줍시다. (빨간색으로 표시)
CLASSPATH = -----.jar;.\lib\cubrid-jdbc-driver-9.3.6.0002-1.0.1.jar
JRE_PATH =
추가후 저장
+
e-Form에도 추가해줘야함
D:\OZ e-Form 7.0\OZ e-Form Designer 7.0\config 여기에도 아래에 추가
.\UniversalDriver/cubrid-jdbc-driver-9.3.6.0002-1.0.1.jar
2. db.proeprties적용
-D:\OZ e-Form 7.0\OZ Query Designer 7.0에 있는 db.proeprties 편집후 아래와같이 입력
alias명.vendor=user
alias명.driver=cubrid.jdbc.driver.CUBRIDDriver
alias명.url=jdbc:CUBRID:해당ip:포트:name:::?charset=UTF-8 (혹시 한글깨지면 추가해주세요)
alias명.props=user=*** ;password=***
alias명.user=***
alias명.maxconns=20
alias명.initconns=5
alias명.timeout=5
3. jre설치폴더/bin 에 존재하는 msvcr100.dll / msvcr120.dll 파일을 디자이너의 bin 폴더에 복사
4. 오즈 쿼리 디자이너에서 스토어 수정
-앨리어스 체크해주시고 2번에서 설정한 앨리어스명 써주시고, db.proeprties가 있는 경로로 설정
5. 이래도 안되면 db 프로퍼티가 다른 경로에 있으면 접속이 안되는걸수도 있으니 경로 맞춰주세요
리눅스 설치 후 네트워크 연결하기
- 터미널 켜기
- ifconfig 입력
- inet6 adr: 영어:영어로 뜬다면 랜카드는 있는데 랜카드 설정이 안되있는 것
- 랜카드 설정해줍시다.
- 터미널 입력창에서
su 입력 ->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 안떠도 비밀번호가 입력되고있음) -> 관리자모드?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엔터
ONBOOT=NO 이부분의 NO를 YES로 수정
* 시프트 r 누르면 수정가능 수정하고 엔터 -> :wq! 엔터
- 그다음 service network restart + 엔터 ( network를 재부팅? )
- ifconfig 보시면 ip가 설정되있을겁니다.
리눅스 - 네트워크 설정 (0) | 2016.09.05 |
---|
Maven셋팅시 pom.xml plugin에러
메이븐을 설정하고나서보니 pom.xml 플러그인에서 에러가 발생했는데요.
구글링을 해보니 해결방법은 이렇습니다.
1. 아래 소스를 pom.xml에 추가로 작성해주고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apache.maven.plugins</groupId>
<artifactId>maven-resources-plugin</artifactId>
<version>2.4.3</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2. 프로젝트 우클릭 -> Run As -> Maven install
3. Maven 업데이트를 해주세요.
저도 이렇게 해결을 완료했습니다.
-1. 표준프레임워크 포털 접속
http://www.egovframe.go.kr/
회원가입 후 -> 다운로드 -> 개발환경의 3.x 다운로드 클릭후 노란색으로 표시한 프로그램 다운로드
2.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실행 (설치)
- 설치후 자바이클립스 실행
3. 서버 톰캣 셋팅
- 톰캣 다운로드
- 이클립스 처음 켜고 아래 server탭에가면 서버설정창이 뜹니다.
- 서버설정창에서 톰캣버전 설정 후 다운로드받은 톰캣경로 설정
스위치 제어
스위치로 전류를 제어할수 있는 예제입니다.
버튼을 누르면 전류의 흐름이 대각선으로 연결됩니다.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전원 OFF
누르지 않으면 전원 ON
아두이노 - 전기신호출력 확인하기 (0) | 2016.09.06 |
---|---|
아두이노 - LCD (0) | 2016.09.01 |
아두이노 - 서보모터 (0) | 2016.08.30 |
아두이노 - 시리얼통신, LED밝기 조절 (0) | 2016.08.30 |
아두이노 - LED , 7-segment (0) | 2016.08.29 |
13번의 LED 1초마다 켰다껏다 제어하고
3번핀에 전기가 들어오면 1이 출력되는 예제
3번핀에 5v를 넣어주면 창에서 1로 전기를 받음
3번핀에 선을빼면 0 전기가 흐르지않음 ( 바로빼고 잔류전기가 남아있어 1이나올수도 있음 )
3번핀-저항-5v -> 항상전기
3번핀-저항-GND -> 항상 노 (풀다운 저항)
아래동영상은 3번핀 연결안하고
LED제어만한 영상이라 위에 0으로 떠있습니다.
아래처럼 3번핀에 전류를 흐르게 해주면
1로 전기신호가 흐름
아두이노 - 스위치제어 (0) | 2016.09.06 |
---|---|
아두이노 - LCD (0) | 2016.09.01 |
아두이노 - 서보모터 (0) | 2016.08.30 |
아두이노 - 시리얼통신, LED밝기 조절 (0) | 2016.08.30 |
아두이노 - LED , 7-segment (0) | 2016.08.29 |